물질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X-ray을 조사시키면, 재료 내 원자의 core electron를 여기 시켜 이온화 과정이 생겨납니다. 이 때 원자는 Core electron의 소실로 인해 전체적인 전자구조의 불안정성을 가져오고 이를 안정화 시키기 위해 높은 에너지 준위의 전자가 떨어져 Core electron이 있던 자리를 채우게 됩니다. 이 과정에서 두 에너지 준위의 차이 만큼이 X-ray의 형태로 방출되는데 이렇게 방출되는 x-ray 에너지는 원자 종류에 따라 특성값을 가지므로 이를 Characteristic x-ray라 합니다.
Fluorescence(형광)란 일차광(Primary photon) 흡수 후 원자 내부 전자 전이로 인해 이차광(Secondary photon)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하며 XRF에서는 이 현상에 동원되는 일차광 및 이차광이 X-ray가 됩니다.
Characteristic x-ray는 기본적으로 원소에 따라 다른 에너지를 가지나 그를 발생시키는 전자 전이의 종류에 따라 더 다양하게 세분화됩니다. Characteristic X-ray 방출이 L→K 로의 전자전이에 의해 발생하면 Kα, M→K는 Kβ, M→L은 Lα 등으로 표시합니다.
Bremsstrahlung vs. Characteristic X-ray
원소 마다 방출하는 Characteristic X-ray의 종류와 에너지(또는 파장)은 잘 알려져 있으며, 이를 통해 시편 내 분포하는 원소의 종류를 알 수 있습니다.
XRF는 또한 정량 분석 기기로 peak의 크기는 재료 내 원소의 농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집니다.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선형적 비례적인 관계는 아닌데 그것은 일차 X-ray 빔과 방출되는 이차 X-ray가 시료와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지면서 단순한 비례 관계가 왜곡되기 때문입니다. 특히 시료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 일차 및 이차 X-ray의 흡수 및 재흡수가 빈번하게 일어납니다. 이러한 것을 Matrix effect라 하며 정확한 정량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합니다. XRF 정량은 기준 시료를 이용하거나 파라미터를 활용한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등 많은 방법이 존재합니다. 아래의 그림은 XRF 에서 쓰이고 있는 다양한 정량 방법을 도식화 한 것입니다.
XRF는 방출하는 X-ray의 검출 방법에 따라 크게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(EDS)와 Wavelength Dispersive Spectroscopy(WDS)로 나뉩니다.
EDS에서는 방출되는 X-ray가 검출기로 직접 입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 EDS에서 많이 쓰이는 검출기는 SDD(Silicon Drift Detector)인데 입력된 X-ray는 SDD 검출기 내에서 전자-정공(electron-hole pair)를 생성시킵니다. 또한 이렇게 생성되는 전자-정공의 양은 입력되는 X-ray 에너지와 비례하게 됩니다. 따라서 이렇게 검출된 X-ray spectrum은 X-ray 에너지에 따른 검출 Count로 표현되며, 이러한 이유로 이를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라 합니다.
반면 WDS에서는 방출된 X-ray가 검출기에 입력되기 전에 Crystal을 거칩니. Crystal은 모노크로미터의 역할로 기하학적 조건에 맞는 단색 파장의 X-ray 만을 검출기로 향하게 합니다. Crystal과 검출기는 Rowland circle에 위치하며 위치를 이를 통해 X-ray 파장에 따른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이렇게 얻은 X-ray spectrum을 wavelength dispersive spectrum이라 한다. WDS에서 사용하는 검출기로는 감도가 좋은 proportional counter를 많이 사용합니다.
Energy dispersive와 Wavelength Dispersive는 각각 장단점이 있고 그를 비교한 테이블은 아래와 같습니다.
Energy Dispersive | Wavelength Dispersive |
---|---|
분석이 빠름 | 분석이 느림 |
모든 원소를 한 번에 분석 | 한 번에 한 원소만 분석 |
분해능 ~100eV | 분해능 ~5eV |
분석 원소에 따른 검출조건 차이 작음 | 분석 원소에 따라 크리스탈 변경 필요 |
정량 분석이 상대적으로 취약 | 정량분석이 상대적으로 우수 |